어째 이 땅은 이미 윌슨의 제자 한명이 터를 잡더니만 그 밑으로 데이빗 버스와 다니엘 데닛의 제자 둘이 다시 터를 잡고는 모든 논의를 선취해 나간다. 내가 뭐 포퍼 밑에서 파이어아벤트같은 반동이 나왔다는 것을 강조하며, 윌슨의 전통에서 르원틴 같은 삐딱이는 나올 수 없는 건가라고 주장할 자격이 되는지는 모르지만서도, 어째 그 밥에 그 나물인것인지는 좀 딴지를 걸고 싶다.
윌슨의 제자분이 들어와서 여기저기를 헤집으시다가 결국은 유명해지신 게 여성문제라는 뜨거운 감자를 물고나서였다. 뜨거운 감자를 무는 걸 뭐라 하는 게 아니다. 국내의 학자들은 그분이 문 그 뜨거운 감자가 정말 제대로 문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역량도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사회생물학자가 여성문제를 물었다면 그런 종류의 논의가 도대체 어떻게 일파만파 퍼져나갈 것인지, 혹은 그런 종류의 논증 같지도 않은 논증(미토콘드리아는 모계유전 -> 여자가 더 중요 -> 호주제 폐지)을 받아들여 버리면 그다지도 반대하던 생물학결정론은 어떻게 해결하고 화해시킬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나와야 하는데, 나는 그런 것 본적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는 문화니 윤리니 노후계획이니 따위의 옐로우저널틱한 주제들만 전행하는 모습이 내게는 그리 달가워 보이지 않는 것이다.
게다가 그 밑에 줄선 분들은 어째 국내에 들어오자 마자 종교 논쟁에 열을 올린다. 철지난 진화론-창조론 논쟁보다는 격이 좀 있는 것인지, 종교와 과학이라는 화두로 신문지면을 -자기 이론도 아닌 서구학자들 이론을 그대로 베끼는 것인데, 그것도 편향된 관점들만 선택해서- 달구더니, 이제 또 한 축에선 도덕성과 종교를 진화론으로 설명해야만 한다고 난리다. 그 스승이 이미 터를 닦아 놓아서인가, 메이저급 신문과 고료도 비싼 몇몇 잡지를 놀이터 삼아 그야말로 국내는 Pop-Science 그것도 아주 오래되고 이제는 별로 신선하지도 않은 한쪽 편의 이야기들로 도배중이다. 게다가 올해는 다윈님께서 탄생하신 200주년이신지라 이분에 대한 거의 부흥대사경회 수준의 일들이 진행중 되시겠다.
여기 다윈의 전도사가 계시다
그래도 명색이 이 분들이 다루는 것이 ‘진화론’인데, 이 가계는 전혀 진화하지 않는 듯 싶다. 정치적으로도 그렇고, 섹시하고 쉬운 주제들만 골라서 적당히 외국학자들의 이야기를 가져다 울궈먹는 행태도 그렇고, 어떤 형태의 연구서도 내지 않는다는 점도 그렇고, 별다른 진지함 고민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없다는 데에서도 그렇다.
물론 나는 이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느냐고 묻는다면 별로 할 말은 없다. 단지 그래도 내가 7년을 후벼판 RNA에 대한 이야기들을 늘어 놓기 시작했고, 그 이야기가 좀 어렵고 섹시한 주제는 아닌지라 인기가 없다는 점이라던가, 그래도 광우병이나 황우석 사태가 났을 때에 나는 진지하게 입장을 표명했다라던가-그들은 조용했다 참- 뭐 그런 변명을 늘어놓을 수 있을 뿐이다.
맨날 이렇게 욕만 늘어놓다가 암살 당하는 건 아닌가 싶지만, 앨런 오의 글들을 읽으면서 화가 더더욱 나게 된다. 그래서 앨런 오의 서평들 중 대표적인 것 몇개를 모조리 번역할 생각이다. 그래야 도킨스-윌슨-핑커-데닛-리들리-버스 등이 모든 것인줄 아는 국내의 독자들도 생각이 좀 깰거고, 그런 전통에서 섹시한 주제들만 확대재생산 중인 학자들도 좀 스스로 게을렀다는 걸 인정할 듯 싶어서다. 이미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에 대한 오의 서평은 번역을 했다. 앞으로 번역할 것들은 윌슨의 <통섭>에 대한 서평, 핑커의 <빈 서판>에 대한 서평, 리들리의 <이타적 유전자>에 대한 서평, 데닛의 <다윈의 위험한 생각>에 대한 서평이다. 시간이 나면 굴드에 대한 서평도 번역할 생각이다. 굴드의 책을 제외하곤 모든 책이 국내에 참으로 빠르게 반역되어 있으니 그 책을 읽은 독자들에게도 균형을 잡아주는 데 일조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아저씨는 겉만 보고 판단하면 안된다. 이 아저씨한테 걸리면 권위같은 것 없다. 그냥 작살이다.
그나저나 앨런 오 이 자식은 너무 어려운 단어들을 현학적으로 구사하는데다가 글들이 장난 아니게 길다. 미치겠다.
조기앨런 오 오른쪽에 있는 박스에 담긴게 초파리 키우는 병이다. 연구실에서 찍은 사진인듯.
생물학적 지식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건, 나눠서 번역을 해 보죠. 은근슬쩍 저련님한테 하나 쯤 떠 넘겨도 번역해 주실 거 같구요, 저도 하나 정도는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먼산)
그럼 좋죠. 예를 들어서 핑커 책에 대한 서평이나 그외 앨런 오의 홈페이지에 있는 다른 서평들 http://www.rochester.edu/College/BIO/labs/ORRLAB/pubs.html#Reviews 에 보면 종교라던가 지적설계(이건 제가 안하려고 합니다. 워낙 이 바닥에 유능한 인재들이 대한민국에 넘쳐나는지라)에 관한 서평을 번역해주시면, 시리즈가 될 수도 있겠네요. 재미있을 듯. ^^
큰 기대 하고 있겠습니다! 두근두근.
어떤 블로거분은 “진화심리학의 결론들을 부정하는건 다윈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선언하기까지 하더군요. 한국에선 자기 스승이나 권위있는 지식에 대한 맹종이 유난히 심한것 같아요. 동아시아 문화의 한계인건지..
오~~이 번역의 가치를 아신다는?
누군지 좀 저한테 알려주시죠. 요즘에 진화심리학과 마르크스주의를 융합한다는둥 뭐 어쩌구 하는 이상한 사람들도 많던데. 그런 사람한테 당하신거 아니신지? 알려주시면 바로 응징 들어갑니다. 다윈을 부정하는 게 얼마나 쉬운데요. 판게네시스라던가 게뮬이라던가…다윈을 부정하면 뭐 큰일나는 줄 아는 자칭 진화론자들은 죄다 진화론 광신자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거의 개독 수준..
전 블로그나 보고 번역된 글이나 읽을랍니다 쿨럭
http://fischer.egloos.com/4098702
어쩌면 아실지도 모르는 분인데, 아마 화학을 전공하면서 진화론은 오타쿠적인 취미로 공부하는 분 같습니다. 글에 달린 답글을 보면 “진화심리학의 연구 방법 및 논리를 욕한다면 진화론 욕하는 거하고 별반 다르지 않”다고 말씀하고 있죠. 개인적으론 저런 취미인들을 일일이 상대하시기 보다는 학자로서의 연구성과 자체로 반박해주시는게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와! 점점 흥미진진 ^^
개인적으로는 핑커의 서평이 기대됩니다…
복 받으실 겁니다…..
음.. 리처드 도킨스한테 무작정 열광했던 제 좁은 사고를 터 주심에 그냥 감사하고 감.
님 싫은데 제가 먼저 재수없는 소리 해 놓고 악플로 도배하는 것도 면목이 없는거 같아서 그냥 감
그 블로그 잘 압니다. 방법론 이야기라면 크게 틀린 건 아닙니다만, 진화심리학의 논리와 방법론이 진화생물학의 그것과 동치일 수는 없습니다. 다윈을 부정한다는 말은 없네요. ㅎㅎ 어부님의 글들은 가끔 읽는데 국내의 회의주의자들이 흘러간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기만을 바라고 있을 뿐입니다. ^^
응원해주시길. ㅋ
핑커는 맨 나중이 될 듯. 우선 윌슨부터 해야겠다는…그럴 이유가 있음. 오늘 중으로 올라갈듯.
오..열린 사고. ㅋㅋ
그저 감지덕지할 따름 입니다…..감사합니다
굴드 책은 참 인상깊게 봤었는데, 굴드 까는 사람들을 보고 깜짝 놀란적이 있었어요.(읽어는 보고 까는건지..비판 내용들보니까 도킨스 글 복사던데..)
/학자라면 당연히 청출어람이 목표여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좀 어처구니 없네요./번역 기대하겠습니다. 짧은 영어 실력을 부끄러워 하며..
내가 요즘 이쪽에 영 관심이 떨어져서 그런지…
사진 속 ‘전도사’가 누군지 모르겠는데?
장X익
굴드도 까일 건 많다는..문제는 누굴 까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어떻게 까느냐..
여기서도 동감 한 번 더. 😀
으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