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Flyandbee

말피기소체 Malpighian tubule의 전설

초파리의 행동을 연구하는 유전학자들에게 편향이 하나 있다면, 지나치게 중추신경계, 즉 두뇌에 집중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인간도 그렇듯이, 초파리의 행동 역시 두뇌 혼자서 조절하지 못한다. 위장을 비롯해서 다양한 기관이 행동의 조절에 관여한다.

말피기소체, Malpighian tubules (MTs)는 보통 인간의 콩팥의 내부 소기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 혈액을 여과시켜 원뇨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곤충에도 말피기소체가 있고, 인간의 말피기소체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1. Dow JAT, Krause SA, Herzyk P. Updates on ion and water transport by the Malpighian tubule. Curr Opin Insect Sci. 2021;47: 31–37. doi:10.1016/j.cois.2021.02.018

준비중인 논문에 관여하는 세포들 중에 반복해서 말피기소체가 등장해서 공부 중이다. 뉴로펩타이드 수용체 중 상당수가 말피기소체에서 기능한다. 즉, 중추신경계와 말피기소체가 활발하게 뉴로펩타이드를 통해 의사소통한다는 뜻이다.

마르첼로 말피기 (Marcello Malpighi, 1628-1694)는 17세기의 이탈리아 생물학자이자 외과의사였다. 당시 이탈리아는 생물학의 중심지였고, 세포생물학과 전기생리학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당시의 분위기는 헨리 해리스가 쓰고 한국동물학회가 출판한 <세포의 발견>이라는 책에 자세히 적혀 있다.

말피기에 대한 국내연구를 살펴보니, 2014년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에 실린 논문 한 편이 보인다.

윤일희, 안명환, 민기홍, & 김종석. (2014). 서양 과학학회 창립의 초기 역사와 기상학의 선구자.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57-360.

말피기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제자인 죠반니 보렐리와 함께 ‘치멘토 아카데미(Accademia del Cimento; Academy of Experiment)’를 설립했다고 한다. 그나저나 초파리의 말피기소체는 인간의 콩팥과 비슷하지만 더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 연구할 생각으로 즐겁다.